지능적 조명 기기를 위해 조명을 사용할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고 그에 능동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된다.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기 위해 사용자 주변의 환경 데이터 인지 연구, 사용자 위치 인지 연구, 사용자 감성 인지 연구, 스마트 조명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연구 등이 이루어 진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서 사용자들의 단말은 다양해지고 있고, 다양한 단말을 이용해서 스마트조명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많아지고 있다. 조명과 IT 기술이 결합된 스마트 조명시스템에 스마트폰 기반의 이용자 시스템의 연구를 통해 보다 이용자 친화적이면서, 친 환경적인 조명시스템을 연구하고자 한다.
지능형 교통관리 시스템 산업 및 기술의 발전으로 자동차의 보급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교통의 혼잡은 날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로 확충과 같은 물리적 시설물의 확장을 사용해왔으나 이러한 방법은 그 비용이 상당히 크고 지리적 위치에 따른 제약이 존재 한다는 한계가 있다. 지능형 교통관리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은 IT와 교통 분야의 융합 기술로서 도로, 차량, 신호 시스템 등 기존 교통 체계의 구성요소에 전자, 제어, 통신 등의 지능형 첨단기술을 접목시켜 구성요소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 되도록 되도록 하는 차세대 교통체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가변적 자동차 속도 제한 기술, 자동화된 지능형 신호등 시스템 등 기존 IT 및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교통량 제어를 통해 탄소 배출량을 줄여 현실적인 Green IT 환경 구현에 목표를 두고 있다.
[ITS 시스템 보기]

임베디드 시스템은 흔히 내장형 시스템이라고 부르며 대부분 한가지 용도를 위해 만들어진다. 즉, 정해진
용도에 맞추어 최적화한 것이 임베디드 시스템이다. 이런 임베디드 시스템은 CPU를 비롯한 모든 부품들이 하나의 소형 기판 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개발 호스트 환경과 임베디드 시스템의 환경은 매우 다양하다. 본 연구실에서는 freeware인 LINUX 를
사용하여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을 연구 하고자 한다.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임베디드 운영체제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 구조 또한 간단하고 빠른 속도의 쓰레드로만 구성된 단일 운영체제부터 멀티 태스킹/마이크로 커널 구조를 갖는 다양한
형태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 특히, 본 연구실에서는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구조 설계 기법을 사용하므로 가시성과 재사용 가능성을
높여, 이런 다양한 형태의 임베디드 시스템 요구 사항들에 대하여 쉽게 만족시키는 방법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임베디드시스템 보기]
인간과 컴퓨터와 사물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다양한 종류의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인간 외부 환경의 감지와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센서들에 대한 지능화 및 상호 유기적 연결을 위한 기술들이 필수적 연구분야이다. 본 연구그룹에서는 이러한 편재된 환경에 흩어져 있는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 분류 하여 가치있는 정보로서 정재하는 기술 이외에 다양하고 수많은 지능형 센서들의 동작을 통제, 조절할수있는 기술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며 다음의 연구분야들이 있다.
[센서네트워크시스템 보기]
센서노드 하드웨어
초소형 운영체제
센서간 통신 프로토콜
저전력 설계
센서 위치측정 시스템
PC 또는 워크스테이션을 초고속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고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클러스터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서버, VOD 서버, 게임 서버, 등을 구성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이 분야는 내부적으로 여러
개의 분야들로 나누어져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분야로는 하위 레벨 메시지 전송 계층, 표준 메시지 인터페이스, 운용
소프트웨어 계층과 같은 미들 웨어 군이 있고,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클러스터내 자원 관리 기능 및 단일 시스템 이미지 기법,
이기종의 연결 통합 관리 기능 등 확장된 개념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소규모의 클러스터 시스템을 자체 제작할
예정이며, 구성된 시스템을 게임 서버 또는 웹 서버로 사용할 때 외부로부터의 접속 폭주에도 데이터의 재분산 및 복제, 클러스터
노드들의 부하 균형 조절을 통하여 원활한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각각의 노드는 LINUX 운영체제를 사용하며 초기에는
메시지 연결 형태의 시스템을 구성하며 향후 단일 시스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LINUX 운영체제 내부 구조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클러스터시스템 보기]
|